문·이과 통합형으로 치러지는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첫 리허설인 10월 모의평가가 다음달 1일 실시된다. 전국 시·도 교육청이 돌아가며 주관하는 전국연합학력평가(학평)와 다르게 모의평가는 수능 출제기관인 대한민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이 주관하기 덕에 '수능 리허설'로 불린다. 평가원은 7월과 5월 네 차례 모의평가를 실시해 10월 시행되는 수능의 출제경항과 난이도를 조절한다.
30일 교육계의 말에 따르면, 올해 6월 모의평가는 문·이과 통합형으로 바뀐 수능 체제가 처음 적용되는 시험이라는 점에서 어느 해보다 중요한 뜻을 갖는다. 특출나게 그동안와 다르게 문과와 이과 학생이 수학에서 같이 경쟁하게 된다.
전년까지는 수학에서 이과는 가형, 문과는 나형을 접수했다. 점수도 따로 산출했었다. 하지만 이번년도부터 가·나형 구분이 사라지고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로 바뀌었다. 모든 수험생이 수학Ⅰ과 수학Ⅱ를 공통과목으로 치르고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세 과목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공통과목에서 문과와 이과가 같은 문제로 경쟁하는 구조다. 수학 30문항 중 22문항(77%)이 공통문항이다. 나머지 8문항(22%)은 선택과목에서 출제한다. 그러므로 수학에 강한 이과 학생에 비해 문과 학생이 불리할 수 있다는 지적이 지속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10월 학평 결과를 보면 이 같은 걱정이 현실로 보여졌다.
서울중등진학지도테스트회가 서울 14개 고교 3학년의 킬러수학 문제 5월 학평 성적(가채점)을 해석했더니 수학에서 1등급을 받은 학생의 88.5%가 미적분을 선택한 학생이었다. 수학 1등급 중 확률과통계를 선택한 수험생 비율은 6.0%에 그쳤다. 일반적으로 이과 학생은 미적분과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search/?query=수학킬러 기하, 문과 학생은 확률과통계를 선택한다.
수능 리허설'로 불리는 5월 모의평가에서 '문과 불리' 현상이 어떤 방식으로 나타날지가 최대 관심사다. 교육계에서는 미적분을 선택한 이과 학생이 공통과목의 성적이 좋을 수밖에 없으니까 문과 학생에 비해 상위권에 모여드는 현상 자체는 어쩔 수 없다고 본다. 관심은 그 격차를 무슨 수로 보정할지에 쏠린다.
우리나라고등학교육협의회 대입상담센터 파견교죽은 원인 김창묵 서울 경신고 교사는 ""평가원이 과거 2002~2004학년도 수능의 계열별 원점수 평균성적을 공개한 적이 있는데 평균점수가 13~15점 차이가 났었다. 문·이과 학생이 같이 시험을 치면 이 정도 차이 문제는 나는데, 문제는 공통문항의 난도""라고 지적했다.
교사 안00씨는 ""8월 학평에서는 공통과목의 난도가 높았고 선택과목 난도가 낮아 수학 잘하는 사람들이 절대 유리할 수밖에 없었다""라며 ""공통과목에서 평균보다 난도를 높게 하면 문과 학생이 절대 불리할 수밖에 없는 만큼 공통과목의 난도가 어느 정도인가, 이게 10월 학평의 포인트""라고 강조하였다.
공통과목의 난도와 함께 선택과목에서 과목별 난도 조절을 무슨 수로 할지도 관심사 중 하나다. 수학에서 '문과 불리'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문과 노인들이 고르는 '확률과 통계'는 어렵게 출제하고, 이과 학생이 선택하는 '미적분'은 가볍게 출제할지도 7월 모의평가의 관람 포인트다.
김00씨 경기 판곡고 교사는 ""미적분을 선택한 이과 학생이 공통과목 성적이 좋을 수밖에 없어 상위 백분위에 집중되는 건 어쩔 수 없다""라며 ""그걸 보정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확률과통계는 어렵게 출제하고 미적분은 가볍게 출제하는 것이다""라고 전했다.
교사 박00씨는 ""이처럼 되면 원점수가 같을 때 표준점수가 유사하게 나와 원점수는 같은데 표준점수는 문과 학생이 낮게 나온다는 지적은 피할 수 있다""라면서도 ""이과 학생이 상위권을 쓸어가는 반응은 막을 수 없기 때문에 평가원이 4월 모의평가에서 어떤 선택을 할지는 지켜봐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한 학습결손 현상이 나타날지도 호기심사다. 올해 고3 사람들은 지난해 고3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의 영향이 더 크다. 작년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등교개학을 늦게 한데다 뒤에도 '퐁당퐁당 등교'를 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순간 고3 시민들이 매일 등교하면서 1·2학년은 대개 격대부분 돌아가며 등교수업을 했었다.